컬럼 / 이창근- 한국지역발전센터 원장 (전 서울대 교수)

 2016년 세계경제포럼을 통해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은 향후 세계가 직면할 변화의 흐름으로 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던졌다.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증강현실, 빅데이터, 클라우드, 3D 프린팅, 인더스트리 4.0, 블록체인 등의 키워드가 일상화되었다. 소비시장에서도 온라인 플랫폼, 공유경제, 프로슈모(Prosumer), 오픈소스, DIY(Do It Yourself), 온디맨드, 임배디드, O2O(Online to Offline) 등이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이들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은 산업간, 가상과 현실간의 융합과 연결로 요약할 수 있겠다.

해외에서는 지역 단위 경제에서조차 인공지능과 로봇의 등장에 따른 일자리 감소 영향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다. 반대로 4차 산업혁명 흐름에 편승하여 경제적 이익과 사회적 편익을 극대화하려는 노력도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인더스트리 4.0, 스마트 시티다. 인더스트리 4.0은 스마트 팩토리(공장)로 보다 잘 알려져 있다. 이는 사물인터넷과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제조업의 혁신을 통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생산기기와 생산품 간의 정보 교환, 생산 전 과정의 최적화를 통해 스마트 공장을 지향하는 제조업 성장 전략이다.

스마트 시티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하여 도시의 주요 공공기능들을 네트워킹한 미래형 첨단도시를 지향한다. 우리나라도 스마트 시티 국가시범도시 내에 자율주행차, 드론 및 무인 교통수단 도입,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로봇, 가상현실, 제로에너지 빌딩, 자가전기통신설비 등 4차 산업혁명의 제반 기술들의 도입을 추진 중이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이란 거대 변화의 물결 속에 지자체에서도 대비와 적응을 서두르고 있다. 가령 고양시는 자체적으로 사물인터넷 융복합 시범단지 조성, 빅데이터 센터 유치, 지역 S/W기업 성장 지원, 가상 및 증강현실 클러스터 구축, 자율주행차 특화단지 조성 등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고양시는 접경지역으로서 하남시 못지않게 각종 규제에 묶여 있는 지역이다. 1989년 4월 일산신도시 건설계획이 발표된 이후인 1992년에야 고양시로 승격되었다. 시승격은 오히려 하남시보다 3년이나 늦었다. 하지만 고양시는 이제 인구 및 경제규모, 산업 및 성장동력 등 모든 면에서 하남시를 능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대비 산업정책도 시 산하 공공기관인 고양지식정보산업진흥원 주도로 일찌감치 수립해나가고 있다.

하지만 하남시는 어떠한가? 도시의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장기 발전전략인 도시기본계획은 여전히 2020 도시기본계획에 머물러 있다. 2020년이 바로 1년 여 후 돌아옴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설상가상으로 김상호 시장 체제의 민선 7기 출범과 함께 발표된 시정목표와 전략에서조차 4차 산업혁명 관련하여 이를 대비하는 산업정책과 성장전략은 도무지 찾아볼 수가 없다. 지역 국회의원 역시 하남시의 성장동력을 창의적으로 제시하기는커녕 오겠다는 대기업조차 앞장서서 반대한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하남신문aass6517@naver.com

저작권자 © 하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