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하남미래발전위원회 운영위원장·이학박사- 최 무 영

 

이 칼럼이 하남신문에 게재되기 전날에 서울 및 부산시장 보궐선거가 끝나고 당락이 결정 된다. 그동안 시도 때도 없이 후보자들에 대한 여론조사가 숨 가쁘게 발표되었다. 당시 일반적인 결과는 서울과 부산 공히 여당 후보가 오차범위 밖의 차이로 뒤지는 것으로 연일 발표됐다. 오늘이면 그 결과가 명명백백하게 알려지겠지만, 그동안의 여론조사의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가름하게 된다. 여론조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도 있고, 반대로 비판을 감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극단적으로 여론조사 무용론까지 거론될 것이다.

여론조사는 현대정치와 선거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필수적인 도구요 통로가 되고 있다. 비단 정치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 문화, 사회적 여러 정책과 현상에 대한 여론조사의 영역과 비중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여론조사는 질문의 어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오늘날 같은 정보화 사회에서 중요한 정보가 거짓되고 정확하지 못하다면 우리는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없고, 사회에는 불신 풍조가 생길 수밖에 없게 된다. 허구일 수도 있는 숫자 놀음에 의한 정치인의 인기도가 이 나라의 운명을 결정하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 손실이 너무나 크고 아프고, 결국 그것에 대한 책임을 우리 국민이 져야하기 때문이다.

정치는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라고도 한다. 결코 이미지만으로 끌고 갈 수 있는 만만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깊은 토론이 없는 판단, 지적인 뒷받침이 없는 윤리, 바람몰이식의 포풀리즘, 이 모든 것들이 대표적인 감성정치라 할 수 있다. 감성 정치는 교묘한 대중 속임수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부의 성패는 감성 이미지 정치 실험에서 가늠된다. 그 실험이 여론조사의 결과에 따라 걷잡을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결국 지지자들이 냉담하게 돌아서며 여론은 대통령을 소외시키고, 이반하기 시작한 민심은 임기가 남아있는 대통령을 믿지 않게 된다.

감성 정치는 자신의 무능과 허물을 감추고 불가능한 것을 가능한 것처럼 만들며, 거짓과 허위를 진실로 믿게 만드는 마술적 현란함이 스며들어있다. 여론조사에 흔히 동원되는 1천 명~2천 명의 표본은 전체국민 5천만 명 중 고작 0.002~0.004%에 불과하다. 이런 정도의 생각을 전체 국민 여론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조사대상 2,000명 중 응답률은 대략 13.1% 정도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고작 262명의 의견을 분석해서 전 국민의 여론이라고 하는 데는 무리가 따른다. 응답률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중도층이 많다는 의미이기도 해 변수가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여론조사는 그 자체를 믿는 다기보다 추세를 파악하는 데 의미를 두면 오류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여론조사는 추세를 알아볼 수는 있는 척도는 될지언정 신뢰성에 대한 믿음은 크지 않다. 여론조사 결과를 접하는 국민이 이를 사실이라 믿는다면 많은 사람이 오류를 범하게 되고 사회적 혼란을 부추긴다. 그런 오류에 사람들의 마음은 널뛰기 한다. 이제 이번 보궐선거의 결과를 보면 그동안의 여론조사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 진다. 여론조사의 현주소를 그대로 알게 될 수도 있다.

선거에서 특정 후보 지지도나 음악 인기도에 대한 대국민투표에 대한 신뢰도를 속이기 위해 포탈의 실시간 조회 수를 기계로 조작하는 사례에 대한 의심이 국민여론에 대한 신뢰도를 추락시키고 있다. 나아가 정권이 국민을 속일 때 의도적으로 통계적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 표본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 이다. 지지도나 호불호를 측정할 때는 표본이 더 객관적으로 정해져야 한다. 여론조사 기관에서는 이를 간과하지 말고 국민적 신뢰가 담보된 투명한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하는 책무를 잊지 말아야 한다.

여론조사기관들이 진실한 국민의 여론을 제대로 측정하고 싶다면 시간과 비용이 더 들더라도 표본을 늘려서 유의성과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국민으로부터 여론조사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앞으로도 여론조사의 가치를 높이는 길이 된다. 여론조사는 속성자체의 한계를 안고 있다. 그 속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사와 병행해서 빅데이터 분석과 연계시킴으로써 그 한계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나아가 언론기관에서도 이런 통계 작성상의 문제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신뢰할 수 있는 통계가 작성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함께 노력해 나가야 한다.

하남신문aass6517@naver.com

저작권자 © 하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