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성균관 원로 구자관(89세)

 우리나라는 반만년 역사상 전 국민의 80%가 농업에 종사하는 농업국가로서 농민의 생활속에 미풍양속이 전해져왔으나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로 농촌의 청장년이 도시로 진출하면서 전래의 미풍양식이 사라져가고 있다. 이를 아쉽게 생각하며 옛 우리조상들이 지켜온 세시풍속을 월별로 기록하여 조상들의 낭만적이고 여유 있는 생활상을 밝혀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보았다.

월일(음력) 풍속명(이름) 내용 순으로 정리해 보았다.

*1월1일 정월 설날 - 차례와 설빔,도소주마시기,성묘 세배, 1,1- 1,15일 까지 윷놀이 잦치기.

*1월14일 작은 보름 - 아홉차례 행동하기(나무 아홉짐하고 밥 아홉그릇 먹기), 오곡밥 보쌈, 세집이상 타성(他姓)집 밥먹어야 한다는 백가반(百家飯), 달붙이 타작놀이 밤새우기 비녀 돌리기.

*1월15일 상원일(上元日) - 새벽부터 부럼깨기(밤·호도·땅콩). 대보름(큰보름) 설날 다음가는 명절 - 귀밝이 술마시기 더위팔기 용알뜨기 나무 시집 보내기 소밥주기 개보름 세기(밥 안줌) 두례놀이·달맞이·달집짓기·개인액막이·불놀이(쥐불이) 나이대로섭(볏집 조집등)묶어 불에 태우며 뛰어 넘기.

*1월16일 귀신날(귀신 붇는날) - 바깥 출입을 삼가고 푹쉬는 풍속, 이날 남자가 일을 하면 일년내 우한이 있고 여자가 일을 하면 과부가 된다고 하여 일을 하지 않았다, 대문밖에 고추씨 모닦불을 피우고 대문에는 고운최를 걸어 귀신이 최구멍을 세다가 첫 닭이 울고 날이 밝아 도망 간다는 것, 뜰에 있는 신발을 전부 방안으로 들여 놓는다( 귀신이 신어보고 맞는신발은 주인이 죽는다는 것),

*2월1일 머슴날(노비날) 아이떡먹는날 - 영등할머니가 내려오는날, 나이떡(나이대로 송편을 먹는다) 콩볶기풍속, *2월6일 좀생이보기 - 좀생이보기, *3월3일 삼짓날 - 제비가 나오는날, 처음보는 곤충으로 점을 친다, 개구리(먹을복) 도마뱀(나뿐일) 노랑·호랑나비(좋은일) 힌나비(상제) 회전놀이(3.3).

*4월8일 석가탄일 관동놀이 - 연등 들고 절에 탑돌기. *5월5일 단오절 - 창포물에 머리감기 그네뛰기 씨름 봉선화 물들이기 육모초 뜨는날. *5월10일 태종우(太宗雨) - 찔레꽃 가뭄을 해소하기 위해 내리는 비가 있다. *6월15일 유두날 백중 - 유두천신(流頭薦新)과 삼복날하는 복다림(머슴에게 통닭을 삶아제공).

*7월7일 칠석날 - 햇것을 천신하고 농기구나 서책들을 정리하는 풍속, 견우직녀가 만나는날. *7월15일 백종일(百種日) 망혼일(亡魂日) - 과실 채소등을 천신하고 방생(放生)한다, 이날을 전후하여 호미씻기(호미걸이)를 한다.

*8월15일 추석(秋夕) - 성묘를가 벌초를하고 송편차례(茶禮)를 지낸다, 풍물놀이 거북놀이 소놀이 반보기. *9월9일 중구(重陽節) - 국화주 국화전을 먹고 구절초를 뜯는다, 제비가 들어오는날. *10월 상달 - 이달 첫 말날에는 가을떡을하여 고사를 지내고 안택굿을 한다, 조상묘소에 시제 손들날, 김장담구는 날이 이달의 풍속이다.

*11월 동지(冬至) - 팟죽을 쒀 동지시에 대문이나 담벽에 뿌리고 먹는다. *12월 납정제(臘丁祭) - 묶은세배 딱총놀이 섣달 그뭄날의 밤새우기 눈썹세기 묶은 약불 사르기, 그 외에 일반적인 풍속으로 자녀를 출산하면 대문에 왼새끼로 인줄 또는 금줄을 맨다(남자는 고추 숫을달고 여자는 숫과 솔입을 단다) 삼칠일(21일)을 외인의 출입을 금한다.

*12월30일 섣달 그뭄날 까치설날 - 밤에 복조리 돌리기 야광귀 눈썹세기 머리카락 사르기 쥐불놀이, 정초 첫12지일의 금기로 쥐날 쥐불 놓기, 소날 도마질않기, 쇠붙이 연장 다루지않기, 곡식을 집밖으로 내가지 않기, 사람날(寅日)에 여자들은 바깥 출입 않기, 뱀날 머리빗지 않기, 매월 1, 8, 13, 23, 24일은 인동토일 이라 이날사람이 들어오면 동리가 난다고 금기하기 등이 있다.

이어서 입춘날의 입춘첩 보리뿌리점, 씨앗복기, 입춘굿이 있다, 그리고 윤2월과 윤3월에드는 윤달의 세시풍속이 있다. 이처럼 한국의 세시풍속은 정초와 상원(정월대보름, 15일)에 이르는 기간에 절정을 이루다가 정월보름날까지 푹쉬다가 새해농사 준비가 시작되면서 2월초 하루를 전 후 한시기에 마무리된다.

하남신문aass6517@naver.com

저작권자 © 하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