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컬럼이스트 정 민 채

 이상하게도 뱃사람들은 배 밑바닥에 󰡐밑짐󰡑이라 부르는 일정무게의 짐을 항상 실어둔다. 밑짐이 든든한 배는 풍랑이 거칠지라도 큰 흔들림 없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다. 고난(苦難)한 환경을 인생의 밑짐으로 삼고 살아가면 어떨까?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현대그룹 창업주 고 ‘정 주영회장’ 이라 생각한다. 왜 하필 그 사람인가. 그는 남다른 부지런함과 신용으로 수많은 역경을 극복하며 맨주먹으로 한국 최고의 기업을 일으킨 전설적 인물이기 때문이다.

현대건설,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현대시멘트, 서울 아산병원, 울산대학교, 현대백화점, 서산 간척지 사업, 금강산 관광 등 보통 사람으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을 그는 최단 시일 내에 이루어 냈다. 수많은 일자리 창출과 외화획득으로 빈곤한 대한민국 경제에 기여한 것은 물론 전 세계에 한국의 국격(國格)을 드높였다.

요즘처럼 서민들이 살기 어려운 시절, 그의 청소년 시절을 소개하는 것도 결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정주영 회장(1915-2001)은 강원도 통천 출신으로 가난한 농가의 6남 2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가 14살에 초등학교를 졸업하자, 고되고 힘든 농사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힘든 노력과 흘리는 땀방울’에 비해 농사는 성과가 너무 적었다. ‘차라리 공사판에 가서 노동으로 돈을 벌어다 개간할 필요도 없이, 어엿한 농토를 사는 편이 훨씬 나을 것’ 이라고 생각했다. 죽어라고 일해도 콩죽을 면할 길이 없는 배고픈 농촌생활에 그는 진절머리가 났다.

‘쥐도 새도 모르게 도망치는 길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첫 번째, 두 번째 가출 모두 실패하고 붙들려 돌아왔다. 세 번째 가출은 서울에 가서 부기학원을 다닐 목적으로 소를 판 돈 70원을 몰래 가져갔다. 그러나 아버지에 의해 다시 고향 통천으로 귀향한다.

네 번째 가출로 인천 부두에서 막노동을 할 때, 그곳의 노동자 합숙소는 빈대 지옥이었다. 하루는 다 같이 꾀를 내어 밥상 위에 올라가 자기 시작했는데, 잠시 뜸한가 싶더니 이내 밥상 다리로 기어 올라와 물어뜯었다.

다시 머리를 써서 밥상다리 네 개를 물 담은 양재기 넷에 하나씩 담가놓고 잤다. 빈대가 ‘밥상 다리를 타려하다가 양재기 물에 익사하게 하자’는 묘안이었다. 쾌재를 부르면서 편안히 잔 것이 하루나 이틀쯤 되었을까. 다시 물어뜯기기 시작했다.

불을 켜고 무슨 방법으로 양재기물을 피해 올라왔나 살펴보았더니, 빈대들은 네 벽을 타고 천장으로 올라간 다음 사람을 목표로 뚝뚝 떨어져 목적달성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빈대도 물이 담긴 양재기라는 장애를 뛰어 넘으려 저토록 전심전력으로 연구하고 필사적으로 노력해서 제 뜻을 이루고 있었다.

‘빈대에게서 얻은 교훈’은 그가 어려운 일에 부딪힐 때마다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한다.

보통사람들은 남에게 말하고 싶지 않은 남모를 힘든 시기가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잘 극복할 때 우리자신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 인생의 거센 풍랑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줄 것이다. 불우한 환경이나 열패감(劣敗感)을 비관하거나 감추려 들지 말고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를 꾸준히 공략해보자. 여기 정주영회장의 이야기는 현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하나의 자극제가 될 수 있다.

하남신문aass6517@naver.com

저작권자 © 하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